- 벨기에 루뱅의 후설 문서보관소 -
<철학 연습>의 저자 서동욱 교수님은 현재 벨기에 루뱅에 계시답니다. 먼저 스피노자 동상 앞에서 찍은 동영상 인터뷰를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편집부에서 독자분들을 대신해서 보낸 질문에 동영상을 찍어서 보내주시면서, 이렇게 사진도 찍어서 보내주신답니다. 이번에는 이 후설 문서보관서 앞에서 동영상을 찍어서 보내주셨는데요, 동영상을 올리기 전에 이곳이 어떤 곳인지 먼저 서동욱 교수님의 글로 만나보시죠. :-)
서동욱
루뱅에는 어떤 감동이 있는가? 루뱅과 관련해 처음 나를 가장 사로잡았던 것은 ‘후설문서보관소’였다. 그 기관은 철학적인 관심을 넘어서, 유럽현대사의 한 극적인 단면과 학문에 대한 보편적 열정의 상징물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다. 현상학의 창시자인 독일 철학자 후설은 유대인이었는데, 그는 속기로 글을 써가면서 사유를 전개한 사람이다. 그래서 1938년 후설이 세상을 떠났을 때 약 4만 5천 장의 속기원고와 1만 장의 타이프 원고가 남았다.
그리고 이내 그 방대한 문서들 전체가 유럽 현대사의 가장 어두운 기억가운데 하나인 유대인 저서 말살운동으로 불살라질 위험에 처했다. 당시 루뱅 대학의 철학도인 반 브레다 신부가 나섰다. 그는 유족들을 설득한 후 루뱅 대학 당국과 협의해서 나치의 눈길을 피해 후설의 유고 전부와 그의 서재 전체를 대학으로 옮길 계획을 세웠다. 이 진귀한 이삿짐을 실은 기나긴 열차의 행렬이 벨기에의 북쪽 도시로 이어졌다. 그렇게 해서 루뱅에 후설문서보관소가 들어서게 된다.
문서보관소 설립 이후 메를로퐁티, 데리다를 비롯한 많은 현대 철학자들이 루뱅에 와서 이 문서들을 가지고 연구하게 되며, 이제까지 루뱅은 현대 유럽 철학의 움직임에 가장 민감한 장소로 자리 잡는다.
'책 이야기 > 반비의 스포일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 연습」 표지가 나오기까지 (0) | 2011.06.08 |
---|---|
「철학 연습」의 목적은, 그리고 다음 계획은? (0) | 2011.05.22 |
학문을 지키기 위한 노력의 상징 앞에서 (0) | 2011.05.12 |
"국가의 목적은 자유이다", 스피노자 동상 앞에서 (0) | 2011.05.08 |
반비 출간 예정작 소개 (0) | 2011.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