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비의 저자와 함께!

'철학 연습' 릴레이 강연회 (3) 철학과 무용의 만남 : 신체의 비밀을 찾아서


출간 기념 강연회 첫 번째 ~ 음악과 시와 철학 : 호흡하는 존재에 대해 생각하기 (5/24, 정독도서관)
출간 기념 강연회 두 번째 ~ 철학과 시의 만남 : 지나간 시절을 되찾기 (5/31, 숨도 카페)
얼굴이란 무엇인가?  (5/30, 대치도서관)  

드디어 <철학 연습> 출간 기념 강연회의 마지막 시간, "철학과 무용의 만남 : 신체의 비밀을 찾아서" 강연이 6/2(목), 상수동 이리카페에서 있었습니다.
 



오늘 <철학 연습> 강연의 주제는 "철학과 무용의 만남 : 신체의 비밀을 찾아서" 입니다. 이 자리를 위해 안무가 이나현 선생님이 자리를 함께 해 주시고, 멋진 즉흥춤을 보여주셨습니다.

음악이 없이 춤이 시작되었고, 어느덧 음악이 나오는가 싶더니 다시 고요한 가운데 춤이 이어졌습니다. 모두 숨죽이고 지켜봤던 공연이었습니다. 강연 마치고 질답 시간에, 공연 중 음악이 없는 상태가 있었는데 왜인지라는 질문이 있었는데요, 이에 대해서 이나현 선생님은 "조용한 상태를 사람이 오래 버티기 힘들기 때문에, 공연 중 '무음' 상태가 들어간 것이 아니라'음악'이 들어간 것이라고 설명해 주셨답니다.



이나현 선생님의 즉흥춤 공연이 끝나고, 이제 본격적인 강연의 시작입니다. 사회는 1회 강연 때처럼 김지녀 시인이 맡아주셨습니다. 

 


신체의 비밀을 찾아서
―무용수의 눈과 몸의 문제들


『철학연습』(반비, 2011)이 다루는 것 가운데 하나가 신체의 문제입니다. 현대철학이 그 중요성을 발견하고 늘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로 신체이지요. 『철학연습』에 나오는 메를로-퐁티, 레비나스, 들뢰즈 등의 사상의 주요 부분에 몸에 대한 명상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들은 각자 독창적으로 신체에 대한 사유를 전개해 왔습니다. 주관과 객관 이전적인 원초적 ‘살’로서의 존재(메를로-퐁티), 리듬의 자동성(레비나스), 기관 없는 신체 또는 알(들뢰즈) 등등이 신체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는 개념들이지요.


오늘 저녁엔 안무가 이나현과 함께 신체의 문제를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몸은 늘 미리 정해진 생활 방식 속에서 우리가 필요로 하는 어떤 기능에 복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나날의 피상적인 용도성 속에서 신체의 원초적인 모습이 사라져 버리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혹시 모든 용도성으로부터 떠나 있는 신체 자체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은 없는 걸까요? 신체를 쟁기나 다른 연장, 또는 인사하거나 악수하는 기계처럼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신체 자체인 한에서 사용하는 사람이 신체 자체를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런 사람이 바로 무용가라고 생각합니다. 신체를 신체 자체로서 사용하는 사람.


먼저 우리는 오늘 저녁 이나현의 춤을 보게 될 것입니다. 이나현과 저는 종종 춤과 철학을 한 무대에서 사유해 보는 작업을 해왔기 때문에, 이나현은 제가 어떤 문제들에 대해 생각해왔는지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그녀의 춤의 생성에 영향을 주지는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철학은 춤의 대본이 아니며, 무용수는 철학적 개념의 개입 때문에 자신의 자유를 침해받아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 춤은 이미 존재하는 이론을 청사진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오늘 저녁 우리는 춤을 보면서 비로소 신체에 대해 새롭게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춤이 신체의 숨겨진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아래 우리가 춤과 더불어 생각해 보았으면 하는 몇 가지 구절을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미지의 곳으로 떠나는 사유는 앞에 펼쳐진 물살이 거세서, 징검다리가 되어줄 디딤돌 몇 개를 늘 가지고 싶어 하니까요.


메를로퐁티: “지금껏 철학은 고작해야 몸을 인식 주관이 대면하는 여타의 다른 대상과 다를 것이 없이 시공을 채우고 있는 연장(延長)으로 보았다. 즉 “규정된 대상의 총합으로서가 아니라 모든 사고에 앞서 스스로 우리의 경험에 끊임없이 현존하는 잠재적 지평으로서의 몸”을 발견하지는 못했던 것이다. 그러나 몸은 의식이 지각하는 대상이기 이전에, 몸 때문에 바로 외부 대상들이 우리에게 존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이상 세상 바깥에 있는 비신체적인, “고공비행을 하며 내려다보는 주체(상공에서 내려다보는 주관)”는 없으며, 세계 안의 몸과 뒤섞여 있는 의식이 주체가 된다. 피부의 조직끼리 갈라낼 수 없이 얽혀 있듯 의식은 “세계의 조직(tissu du monde) 속에 살고 있는 것이다.”(『철학연습』, 112쪽)


레비나스: “리듬은 시적 질서의 어떤 내적 법칙 보다는 시적 질서가 우리에게 작용하는(affecter) 방식을 가리킨다.……주체는 그 리듬 속에 사로잡히고 또 휩쓸려 버린다. 주체는 리듬의 고유한 표상의 일부가 된다. 그 자신에 거스르면서조차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리듬 안에는 더 이상 ‘자아’가 없고, 자아로부터 익명으로의 이행 같은 것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시와 음악의 매혹 혹은 주술이다. 이런 존재의 양태에는 의식의 형식이 들어맞지 않는다. 왜냐하면 여기서 자아는 그런 존재 양태를 소유하는 특권, 그리고 그의 힘의 특권을 버리기 때문이다. 또 이런 존재의 양태에는 무의식의 형식도 들어맞지 않는다. 왜냐하면 무의식의 경우 전체 상황과 그 상황의 개개 정황들은 분명치 않은 어두운 빛 속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음악 소리에 맞춘 걸음 걸이 혹은 춤의 특별한 자동성(L'automatisme)은 무의식적 인 것이라고는 아무 것도 없는 존재의 양태이다. 오히려 이 존재 양태에 있어선 자신의 자유 속에서 마비된 의식이 놀이하며, 완전히 이 놀이 속에 흡수되 버린다.”(레비나스, 「실재와 그 그림자」에서)


들뢰즈: “들뢰즈는 특권화된 기관으로서의 눈보다는, 어떤 기관도 특권을 행사하도록 전제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기관 없는 신체’를 내세운다. 아무런 기관도 전제되어 있지 않은 이런 신체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메타포로서 그는 알(卵)을 제시하기도 한다. “우리는 기관 없는 신체를, 기관들이 기관화〔유기체화〕되기 이전의, 그리고 층들(strates)이 형성되기 이전의 알로 다룬다…….” “우리는 알이 유기적으로 되기 ‘이전의’ 신체의 상태를 나타내 준다는 것을 안다.……알은 ‘입도, 혀도, 이도, 후두도, 식도도, 위도, 배도, 항문도 없다.’ 유기적이지 않은 생명 전체일 뿐이다.”……“기관 없는 신체는 기관에 반대된다기보다는, 우리가 유기체라고 부르는 기관들의 유기체화(organisation)에 더 반대된다.……유기체란 생명이 아니라 생명을 가두고 있는 것이다””(서동욱, 『차이와 타자』에서)



.
.
.



강연회 내용은 간략하게 이 정도로 마치고,  질답 시간. 

<철학 연습> 출간 기념 강연회를 위해 벨기에에서 한국까지 오신, 짧은 기간 동안 시차 적응 기간도 없이 4개의 주제로 4번의 강연을 해 주신 서동욱 선생님과, 같이 해 주셨던 모든 게스트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늦은 시간에 강연회에 참석하셔서 '철학'이라는 것을 실생활과 유리된 것이 아닌 실제 삶에 부딪치는 주제로 소화하신 모든 참석자분들께 정말 감사 드립니다.

참, 혹시 강연회 세 번 모두 참석하신 분 계신가요? 두 번 참석하신 분들은 제가 몇 분 뵌 것 같습니다만. ^^ 강연회 참석하셨던 분들, 후기를 인터넷 서점이나 반비 블로그에 트랙백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