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완결, 쉬고 있는 이야기/[연재] 도서관 기행 (完)

한국 도서관 기행 (8) ~ 어른들의 도서관 정독 도서관 ③

...에 이어 여덟 번째로 소개하는 도서관은 바로 '정독도서관'입니다.  '어른들의 도서관 정독 도서관'편은 3회에 걸쳐서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지난 포스팅은 [도서관 기행] 카테고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른들의 도서관 정독 도서관 ① / 어른들의 도서관 정독 도서과 ②편에 이어서...



어른들의 도서관 정독 도서관 ③


by 강예린 & 이치훈



작가와 독자가 만나는 도서관


정독도서관이 유난히 많은 사람들이 찾는 이유는 접근성이 좋은 입지와 도서관의 정원 때문이기도 하지만 도서관이 적극적으로 성인 독자들을 끌어들이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정독도서관에서는 작가와의 만남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작가들이 독자들과 함께 책 출판을 기념한다. 성인 독자들을 위해 작가와의 만남은 퇴근 이후의 시간에 이루어진다. 작년에는 스물세명의 작가들이 이곳 정독도서관에서 독자들과의 만남을 가졌다황석영, 박범신, 김훈, 이덕일.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한국의 내로라하는 작가들이다. 생태경제학자 우석훈도 출판 간담회를 정독도서관에서 가졌다.


두세 시간은 훌쩍 넘겨버리는 작가와 독자의 만남에서는 작가의 낭독을 들을 수도 있고 책에 관련된 의미 있는 대화들이 오간다. 북적거리는 대형서점에서의 팬사인회와는 다르게 시청각실을 가득 메운 독자들은 사뭇 진지하게 작가와 대화한다.


한편 작가와 팬들의 만남이기에 화기애애하기만 할 것 같지만 꼭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어떤 독자들은 책의 내용을 조목조목 반박하며 작가를 곤란에 빠뜨리기도 한다. 재야의 역사학자 이덕일 선생의 “조선 왕을 말하다” 행사 때에는 작가와 정반대의 생각을 가진 독자 한 분이 “왜 그런 작가를 섭외했냐”며 도서관에 항의를 해오기도 했다고 한다이에 작가와의 만남을 진행하는 문화활동 지원과의 나영선 사서님의 대응이 현명하다. “도서관은 서로 생각이 다른 사람들이 만나 책에 대해 토론하고 이야기 나눌 수 있는 공간”이라는 것. 이 일화를 전해들은 이덕일 선생도 “딴지를 걸어오는 독자들이 있는 정독도서관이 좋다”고 하셨단다.



「문화로 먹고살기」 출간 기념 대담회 (정독 도서관, 2011.10.11)



도서관이 책과 사람이 만나는 개인적인 독서를 넘어서서 다양한 생각이 만나고 토론하는 장소라는 현직 사서의 생각은 당연한듯하면서도 새롭게 다가온다. 도서관이 정숙하게 묵독하는 공간만은 아니라는 것. 독서의 정신활동을 개인적인 체험에서 사회적인 관계로 확장시키고 다양한 해석과 의미를 생산하게 하는 장소라는 생각은여느 도서관이나 곱씹어볼 만한 문제의식인 것 같다.



, 출판, 그리고 학계의 네트워크가 만나는 장소


작가와 독자가 만나는 풍경과 더불어 정독도서관에서는 학술 심포지움이 열리기도 한다. 학술심포지움이라면으레 대학교나 학회에서 주최하는 행사로 생각하기 쉽다. 학계라는 제도권 외부에서 출판사와 학자들이 주체가 되어 주관하는 심포지움은 그래서 특별하다. 공공 도서관에서 진행되는 학술행사는 학문 체계의 벽, 대학 제도의 벽, 지식인과 대중의 벽을 허무는 시도였다. 여기서 도서관은 대학이나 컨벤션 센터를 대체하는 대안적인 공간이 된다. 상아탑에 갇힌 그들만의 학문이 아닌 대중적인 소통의 장으로서 도서관이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서관에서 진행되는 심포지움에는 따로 참가 신청을 해야 하거나 참가비를 낼 필요가 없었고 누구에게나 열린 행사로 진행되었다. 이틀에 걸쳐 진행되었던 심포지움에는 200여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도서관 측에서도 어려운 내용의 학술 행사에 독자들이 몰리는 현상에 놀랐다고 한다. 정독도서관과 함께 푸코심포지움을 주최했던 출판사 그린비는 그 이전에 알튀세르심포지움을 통해 “알튀세르 효과”라는 책을 출판해내기도 하였다.


독자들이 문턱 없이 그 심화된 학문적인 소통의 장에 드나들며 그 결과가 책으로 출판되어 다시 도서관에서 읽히는 일련의 과정은 도서관이 단순히 책을 소비하는 공간을 넘어서서 지식을 생산하고 확장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서관이 책과 출판사 그리고 학계의 네트워크가 구체화되는 결절점이 된다고 하면 과장일까?


그린비 출판사와 정독도서관의 심포지움은 대안적인 연구 공동체와 학계의 울타리를 벗어나 움직일 수 있는 자유로운 지식인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적지않은 시간과 노력, 치밀한 기획이 필요한 학술행사를 매번 도서관에서 여는 일도 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정독도서관이 치루어냈던 심포지움은 더욱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정독도서관의 작은 시작을 통해 문화강연을 위한 공간이나 지역의 공동체의 장이라는 역할을 넘어 도서관이 좀더 심화된 학술 공동체의 장이 되는 상상을 해 본다.




정독도서관의 미래, 책을 만드는 도서관


보르헤스는 스스로를 “작가로서보다 오히려 독자로서 더 뛰어나다”고 말했다. 환상적인 단편소설의 세계적인 문호로 알려진 보르헤스에 대한 여러 가지 평가들 중 흥미로운 부분은 그의 소설이 다른 문학작품을 읽고 요약, 가필하는 과정에서의 산물이었다는 것이다. 타인의 글에 의탁해서 자기 글을 쓰는 방식으로서 패러디와 메타 픽션과 같은 독특한 기법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고 보르헤스 특유의 소설이 탄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9살에 오스카 와일드의 “행복한 왕자”를 에스파냐어로 번역해 신문에 투고할 정도로 책을 많이 읽는아이였던 보르헤스가본격적으로 소설을 창작하기 시작한 것은 부에노스아이레스 소재의 미겔카네 시립도서관의 사서 시절이다. 사서의 업무가 그리 과다하지 않았던 터라 보르헤스에게 도서관 지하의 서고는 조용히 혼자 독서하며 창작에 몰두할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었던 것이다.


보르헤스의 일화를 통해 모든 독서가 창작을 전제 한다는 가설을 세운다면 뛰어난 독자들이 많이 찾는 도서관에서 훌륭한 작가가 탄생할 확률도 높지 않을까? 책을 읽는 도서관을 넘어 책을 만드는 도서관이다. 대영박물관의 도서관이 마르크스가 “자본론”을, 아놀드하우저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를 집필한 장소였던 것처럼 수준 높은 독자들이 끊이지 않는 정독도서관에서도 세계적인 작가가 탄생할 날이 머지 않았다.





반비 블로그에 인기리에 연재되었던 
도서관 기행이 책으로 출간되었습니다!

도서관 산책자
두 책벌레 건축가가 함께 걷고 기록한, 책의 집 이야기


인터넷 서점 링크


 예스24 가기 교보문고 가기 

알라딘 가기 

 인터파크 가기 리브로 가기 

11번가 가기